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고반발 드라이버 비거리 차이

by LETANDANTE 2025. 4. 19.
반응형

드라이버

1. 고반발 드라이이버란?

 반발계수(COR)와 CT 규정

  • 드라이버 페이스의 반발성(탄성)을 수치화한 것이 반발계수(COR: Coefficient Of Restitution)입니다. 반발계수가 높을수록 볼 스피드가 증가해 비거리도 늘어납니다
  • R&A와 USGA는 2003년부터 드라이버의 COR을 0.830 이하로 제한했으며, 현재는 반발계수 대신 임팩트 시 접촉 시간을 측정하는 CT 방식으로 공인 여부를 판단합니다 

고반발 vs 초고·극초고반발 분류

  • 일반 공인 드라이버: COR ≤ 0.830
  • 고반발 드라이버: COR 0.840~0.860
  • 초고반발 드라이버: COR 0.870~0.900
  • 극초고반발 드라이버: COR > 0.900 

2. 실제 비거리 차이, 실측 데이터

 

 시뮬레이터

및 개인 테스트 사례

  • 골프포럼 사용자들은 고반발 드라이버 사용 시 일반 모델 대비 15~20m 비거리 증가를 경험했다고 보고했습니다 
  • 일부 영상 리뷰에서도 아마추어 대상 시타 결과 약 10~15야드 추가 효과를 보였다는 사례가 다수 올라와 있습니다 

공인기관 실측치

  • 국민체육진흥공단 시험연구소 실측 결과, 일부 극초고반발 드라이버의 COR 0.91 측정치는 이론상 16야드(약 14.6m) 이상의 추가 비거리가 기대됩니다

테스트 시 유의사항

  • 헤드 스피드가 약 35m/s(≈78mph) 이상이어야 페이스가 파손되지 않으면서 고반발 효과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 
  • 높은 반발계수를 얻기 위해 페이스 두께를 얇게 제작하는 만큼 내구성 저하파손 위험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 

 

 

 

 

3. 고반발 드라이버 선택 시 고려 사항

  내구성과 안정성

  • 얇아진 페이스는 반복 임팩트 시 파손 확률이 높아지므로, 국민체육진흥공단 등 공인 기관의 실측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 

 피팅(fitting) 권장

  • 자신에게 최적화된 반발계수와 샤프트 스펙을 찾기 위해서는 시뮬레이터 기반 전문 피팅 센터 방문이 필수적입니다 

4. 결론 및 추천

고반발 드라이버는 비거리 향상이 필요한 시니어·여성·초보 골퍼에게 분명 매력적인 옵션이지만, 헤드 스피드 요건, 내구성 이슈, 합법 여부(공인 모델 선택 여부) 등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.

  • 평균 10~20야드 추가 비거리를 기대할 수 있으나 
  • 충분한 피팅, 실측 데이터 확인, 헤드 스피드 고려 후 구매하세요.
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, 시타 후기피팅 경험을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!

반응형